● NAVIGATION
1. 지체장애 정의 2. 지체장애 분류 1) 신경·근질환성 질환군 2) 운동기 질환군 3. 결론 |
1. 지체장애 정의
지체장애는 신체 일부의 기능 및 형태적 장애로 인해 일상생활이나 교육적 성취에 어려움을 겪는 상태를 의미한다. 특수교육법과 장애인복지법에서는 지체장애를 다음과 같이 정의하고 있다.
- 특수교육법: 신체의 기능이나 형태에 장애가 있어 몸통을 지탱하거나 팔다리 움직임에 어려움이 있어 교육적 성취에 장애를 겪는 사람을 의미한다.
- 장애인복지법에서는 지체장애인을 세부적으로 분류하며, 주요 기준은 신체 일부의 결손, 관절장애, 지체기능장애, 신체 변형 여부이다.
- 지체장애인
- 신체의 일부를 잃은 경우 (예: 팔, 다리 절단)
- 관절장애를 가진 경우
- 지체 기능에 장애가 있는 경우
- 신체 변형으로 인한 장애가 있는 경우
- 뇌병변장애인
- 보행 및 일상생활 동작이 상당히 제한된 경우
- 경미한 보행 장애 및 섬세한 동작 수행이 어려운 경우
- 지체장애인
과거 장애인복지법 시행규칙에서는 장애 정도를 보다 상세하게 정의하였으며, 한 손의 엄지손가락을 절단하거나 손가락 두 개 이상을 잃은 경우, 한 다리를 리스프랑 관절 이상에서 잃은 경우, 심한 척추 변형이 있는 경우 등을 지체장애로 분류하였다.
2. 지체장애 분류
지체장애는 다양한 원인에 따라 분류되며, 크게 신경·근질환성 질환군과 운동기 질환군으로 나눌 수 있다.
1) 신경·근질환성 질환군
이 질환군은 주로 신경계 이상이나 근육의 퇴화로 인해 발생하는 장애를 포함한다.
- 뇌성마비
- 수정에서 생후 4주까지의 발달 기간 동안 뇌 손상으로 인해 운동, 근긴장, 자세 이상이 초래되는 질환이다.
- 유형에는 경직형, 무정위형 등이 있으며, 신경증상, 발달진단, 합병장애(간질, 시각장애, 청각장애 등)를 종합적으로 평가하여 진단한다.
- 근이영양증
- 유전성 질환으로 점진적인 근육 위축이 특징이다.
- 신경 손상이 없이 근육 조직이 위축되는 근병증(myopathy)과 구분되며, 유전적으로 진행성이 있는 경우 근이영양증(dystrophy)이라고 한다.
- 소아마비
- 폴리오바이러스 감염으로 인해 발생하는 질환이며, 무증상, 경증, 마비형으로 나타날 수 있다.
- 대변 오염이나 구강 분비물을 통해 전염된다.
- 이분척추
- 태아 발달기에 척추가 완전히 닫히지 않아 발생하는 선천적 기형이다.
- 척추 어디에서든 발생할 수 있으며, 출생아 1,000명당 10~20명에서 발견된다.
- 다발성 경화증
- 뇌와 척수의 신경 섬유에서 수초 탈락이 진행되며, 주로 청소년기에 발병한다.
- 감각 이상, 근육 무력화, 시각 장애, 방뇨 장애 등이 나타나며, 질환의 경과가 변동성을 가진다.
- 간질(뇌전증)
- 신경계 이상으로 인해 반복적인 경련성 발작, 감각 장애, 의식 소실 등이 발생한다.
- 대뇌 발작이나 경련성 질환과 동일한 의미로 사용된다.
2) 운동기 질환군
이 질환군은 근골격계 이상으로 인해 발생하는 장애를 포함하며, 형태이상, 외상성 질환, 골질환, 관절질환, 결핵성 질환으로 세분화된다.
(1) 형태이상
- 단지증(phocomelia): 상체 부분의 사지가 하나 이상 결손되거나 짧고 불규칙하게 형성되는 기형
- 만곡족(club foot): 선천적인 발 변형, 특히 첨내반족이 흔함
- 내반슬(O각), 외반슬(X각): 무릎 정렬 이상으로 다리 형태가 변형됨
- 척추전만, 척추측만, 척추후만: 척추의 전후좌우 변형
(2) 외상성 질환
- 가관절: 골절 부위가 유합되지 않아 발생
- 반흔구축: 화상으로 인해 관절 가동성이 제한됨
- 절단: 신체 일부가 외상이나 질병으로 인해 제거됨
(3) 골질환
- 골형성 부전증: 뼈가 약해 쉽게 골절됨
- 연골무형성증: 왜소증을 유발하며, 짧은 사지와 큰머리가 특징적
- 골단염: 뼈 끝부분에서 무균성 괴사가 발생
- 레그-칼브-페테스병: 소아 대퇴골 골두의 괴사
- 구루병: 비타민 D 결핍으로 뼈 변형 발생
- 모르퀴오병: 골연골 발육 장애
- 골수염: 감염으로 인해 발생하는 뼈 염증
(4) 관절질환
- 관절염: 염증으로 인해 관절이 부어오르고 통증이 발생
- 선천성 고관절 탈구: 대퇴골과 골반의 관절이 정상적으로 맞물리지 않는 상태
- 관절구축: 관절의 운동성이 제한되거나 소실됨
- 관절류머티즘: 관절 및 근육에 염증이 생기고 기능 장애를 일으키는 질환
(5) 결핵성 질환
- 골결핵: 결핵균이 뼈에 감염되어 손상을 유발
- 척추 카리에스: 결핵균에 의한 척추염
- 결핵성 고관절염: 고관절에 결핵균이 감염되어 발생하는 질환
- 무릎관절 결핵 및 관절 결핵: 관절 내 결핵균 감염
3. 결론
지체장애는 다양한 원인과 유형에 따라 분류되며, 각각의 특성에 맞는 치료와 재활, 교육적 지원이 필요하다. 신경·근질환성 질환군은 주로 신경계 및 근육 퇴화와 관련된 질환을 포함하며, 운동기 질환군은 근골격계 이상으로 인해 발생하는 질환을 포함한다. 각 장애 유형에 맞는 맞춤형 접근을 통해 교육적, 사회적 지원을 강화해야 한다.
'특수교육, 장애인계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특수교육 이론 정리 10 - 지체장애(기타유형) (0) | 2025.02.06 |
---|---|
특수교육 이론 정리 9 - 뇌성마비 (0) | 2025.02.05 |
속기사 전망, 취업 방법 알아보기 총정리! (0) | 2025.02.03 |
특수교육 이론 정리 7 - 의사소통장애 3탄(언어발달 평가와 분석: 체계적 접근의 중요성) (1) | 2025.02.03 |
특수교육 이론 정리 7 - 의사소통장애 2탄(의사소통장애 유형별 이해와 지도) (0) | 2025.01.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