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 03 안질환 및 교육적 조치
* NAVIGATION
1. 각막 질환
2. 중막 질환
3. 수정체 질환
4. 방수 질환
5. 망막 질환
6. 시신경 질환
7. 외안근 이상
8. 굴절 이상
9. 기타 질환
1. 각막 질환
1) 각막염
※ 특징
- 세균, 바이러스, 진균 등의 감염으로 발생하는 염증성 질환.
- 감염성 각막염이 대부분이며, 각막 손상 및 통증, 충혈, 눈부심 등을 유발함.
2) 각막혼탁
※ 특징
- 각막의 혼탁은 특정 부위 또는 전체에 발생하며, 위치에 따라 시력에 미치는 영향이 다름.
- 혼탁 부위가 중심부일 경우 심각한 시력 저하를 유발하며, 주변부 혼탁은 비교적 영향이 적음.
- 혼탁으로 인해 눈부심, 대비감도 저하, 시야 흐림 등이 동반될 수 있음.
※ 교육적 조치
- 시력과 대비감도, 조명 선호도 평가를 통해 지원 방안을 마련.
- 확대 자료와 확대 기기(확대경 등)를 제공하여 시각적 정보 접근성을 높임.
- 혼탁 부위와 정도에 따라 중심 외 보기(center avoidance) 기술을 지도.
- 눈부심을 줄이기 위해 착색 렌즈, 조명 조절(광원 위치 배치), 고대비 자료를 활용.
3) 원추각막
※ 특징
- 각막 특정 부위가 비정상적으로 얇아지고 돌출되는 진행성 질환.
- 난시, 시력 저하, 번짐, 눈부심 등이 발생하며 심한 경우 각막 이식이 필요.
※ 교육적 조치
- 난시 교정을 위해 안경이나 하드렌즈 착용.
- 렌즈 착용 시 각막 손상 방지를 위해 안과 처방에 따라 사용.
- 중심 외 보기 기술을 훈련하고, 착색 렌즈 및 조명을 조절하여 눈부심 문제를 완화.
2. 중막 질환
1) 무홍채증
※ 특징
- 홍채 결손으로 인해 빛이 과다 유입되며 심한 눈부심과 시력 저하를 유발.
- 백내장, 녹내장, 약시 등 동반 질환 가능.
※ 교육적 조치
- 시력과 조명 선호도 평가를 통해 적절한 조명 환경 조성.
- 착색 렌즈, 홍채 콘택트렌즈 등을 활용하여 빛의 양을 조절.
- 반사광 문제를 줄이기 위해 무광 칠판, 담황색 종이 사용, 조명 위치 조정.
2) 베세트병
※ 특징
- 포도막염으로 인한 시신경 손상과 실명 가능성이 높음.
- 전신 질환으로, 눈뿐 아니라 다른 장기에도 영향을 미침.
※ 교육적 조치
- 시력 손상에 따라 확대 자료와 대체 자료(점자, 음성 자료) 제공.
3) 무수정체안
※ 특징
- 수정체 적출로 초점 조절이 불가능하며, 원시가 발생.
- 굴절 이상으로 인해 시야 왜곡, 시력 저하 동반.
※ 교육적 조치
- 다초점 안경, 콘택트렌즈 사용.
- 보행 시 주변 장애물에 주의하도록 지도.
- 눈부심 완화를 위해 착색 렌즈 및 모자 착용 권장.
3. 수정체 질환
1) 선천성 백내장
※ 특징
- 수정체 혼탁으로 시야 흐림 발생.
- 혼탁 부위 및 진행 정도에 따라 시력 저하가 달라질 수 있음.
- 치료는 대부분 수술로 이루어짐.
※ 교육적 조치
- 혼탁 위치에 따라 조명을 조절하여 학습 환경을 최적화.
- 확대 자료와 대비 강화 자료 제공.
- 눈부심을 완화하기 위해 조명 위치 조정 및 착색 렌즈 활용.
4. 방수 질환
1) 선천성 녹내장
※ 특징
- 안압 상승으로 인해 시신경이 손상되어 시야 장애 및 시력 저하 발생.
- 터널 시야, 야맹증 동반.
※ 교육적 조치
- 안압 관리(약물, 수술) 필수.
- 잔존 시야를 활용할 수 있는 위치에 자리 배치.
- 시야 손실에 따라 보행 훈련 및 점자 교육 병행.
5. 망막 질환
1) 당뇨 망막병증
※ 특징
- 당뇨로 인해 망막 혈관 손상이 진행되는 질환.
- 시야 암점, 시력 저하, 망막 박리 등이 동반.
※ 교육적 조치
- 혈당 조절 지원(식이요법, 혈당 체크).
- 확대 자료, 음성 자료 제공.
- 점자 교육 병행.
2) 미숙아 망막병증
※ 특징
- 미숙아에게 주로 나타나며 시력 저하 및 망막 박리를 유발.
※ 교육적 조치
- 정기적인 안과 검진을 통해 질환 진행 여부 확인.
- 야맹증이 있는 경우 보행 교육 병행.
3) 망막 박리
※ 특징
- 망막이 분리되어 떨어지는 질환으로, 중심 시야 손실 가능.
※ 교육적 조치
- 중심 외 보기 기술 지도.
- 확대 자료, 고대비 자료 제공.
- 머리 충격 및 과격한 활동 제한.
4) 황반변성
※ 특징
- 중심 시야 손상, 중심부 암점, 시력 저하 발생.
※ 교육적 조치
- 고배율 확대 기기 사용.
- 중심 외 보기 기술 훈련.
5) 망막색소변성증
※ 특징
- 진행성 질환으로 터널 시야 및 야맹증 동반.
※ 교육적 조치
- 점자 및 시기능 훈련 제공.
- 야간 이동 보조 도구(흰지팡이, 조명기기) 활용.
6. 시신경 질환
1) 시신경 위축
※ 특징
- 시신경 퇴화로 인해 시력 및 시야 감소 발생.
※ 교육적 조치
- 시야 결손 보완을 위한 시각 기술 훈련.
- 확대 자료와 점자 자료 제공.
2) 시로장애(반맹증)
※ 특징
- 시야의 절반 손실(좌·우측, 상·하측).
※ 교육적 조치
- 프리즘 렌즈 사용, 잔존 시야 활용 기술 지도.
- 글줄 읽기 보조 도구 활용.
7. 외안근 이상
1) 사시
※ 특징
- 양안 불균형으로 복시 발생.
- 교정되지 않을 경우 약시로 이어질 수 있음.
※ 교육적 조치
- 교정 렌즈 사용, 시기능 훈련 제공.
- 시각적 피로를 줄이기 위한 주기적인 휴식.
2) 안구진탕
※ 특징
- 안구의 불수의적 움직임으로 고시 및 읽기 어려움 발생.
※ 교육적 조치
- 읽기 보조 도구(타이포스코프, 라인 가이드) 사용.
- 정지점 훈련(null point training).
8. 굴절 이상
1) 근시
※ 특징
- 가까운 거리만 잘 보임.
※ 교육적 조치
- 오목렌즈 사용, 앞좌석 배치.
- 적절한 글자 크기와 대비를 제공.
2) 원시
※ 특징
- 먼 거리만 잘 보임.
※ 교육적 조치
- 볼록렌즈 사용, 짧은 학습 활동 유도.
3) 난시
※ 특징
- 각막 불균일로 인해 시야 왜곡 발생.
※ 교육적 조치
- 시각 활동 후 충분한 휴식 제공.
9. 기타 질환
1) 마르판 증후군
※ 특징
- 수정체 탈구와 시력 저하 발생.
※ 교육적 조치
- 초점 맞추기 기술 지도, 과격한 운동 제한.
2) 어셔 증후군
※ 특징
- 망막색소변성과 청력 손실 동반.
※ 교육적 조치
- 유전 상담, 맹농아 교육 지원.
'특수교육, 장애인계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특수교육 이론 정리 7 - 의사소통장애 2탄(의사소통장애 유형별 이해와 지도) (0) | 2025.01.24 |
---|---|
특수교육 이론 정리 6 - 의사소통장애 1탄 (0) | 2025.01.21 |
특수교육 이론 정리 4 - 시각장애 1탄(시각장애 정의와 이해) (0) | 2025.01.15 |
특수교육 이론 정리 3 - 청각장애 3탄(청각장애인의 언어 및 의사소통) (0) | 2025.01.14 |
특수교육 이론 정리 2 - 청각장애 2탄(보청기와 인공와우) (0) | 2025.01.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