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특수교육, 장애인계정보

특수교육 이론 정리 4 - 시각장애 1탄(시각장애 정의와 이해)

by i am abigail 2025. 1. 15.

시각장애 정의와 이해

특수교육이론 시각장애

 

각장애는 법적 기준과 교육적 기준에서 다르게 정의되며, 법적 정의는 주로 시력과 시야 손상 정도에 의존한다. 반면, 교육적 정의는 학습과 일상생활에서 나타나는 실질적 어려움을 중심으로 한다. 시각장애 학생을 지원하기 위해서는 눈의 구조와 기능을 이해하고, 보조공학기기 활용, 학습 환경 조정, 교수 방법 수정, 사회적 통합 지원 등 다각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이러한 지원은 시각장애 학생이 자신의 잠재력을 발휘하고 사회적 자립을 이룰 수 있도록 돕는다.

 

* NAVIGATION

PART 1. 시각장애 정의

PART 2. 시각장애 이해

PART 1. 시각장애 정의

1. 법적 정의

  • 특수교육법

시각장애는 크게 맹과 저시력으로 구분된다. 맹은 시각기능을 전혀 사용할 수 없는 상태, 저시력은 보조공학기기 등을 통해 시각적 과제를 수행할 수 있는 상태이다.

주요 학습 수단으로 광학기구, 점자, 촉각, 청각 등을 활용한다.

  • 장애인복지법

시각장애의 기준은 시력과 시야 손상 정도를 기반으로 한다.

장애의 정도가 심한 경우: 좋은 눈의 최대 교정 시력이 0.06 이하 또는 시야가 5도 이하.

장애의 정도가 심하지 않은 경우: 좋은 눈의 최대 교정 시력이 0.2 이하, 시야가 10도 이하 등.

그러나 일상생활의 독립성이나 사회생활 참여 능력을 고려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다.

 

2. 교육적 정의

교육적 정의는 기능적 정의로도 불리며, 학습에서 교육내용, 교수방법, 자료, 환경 등을 조정해야 하는 학생을 의미한다.

시각장애 상태는 전맹, 광각, 수동, 저시각 등으로 세분된다.

 


PART 2. 시각장애 이해

1. 눈의 구조

1) 눈의 구조와 기능

  • 외막
  • 각막: 외막의 앞부분으로 빛이 눈에 들어오는 첫 번째 창 역할을 하며, 초점을 조절하는 기능을 한다. 각막 질환으로는 각막염, 각막 외상 등이 있다.
  • 공막: 흰자위 부분으로 안구의 형태를 유지하며, 외안근이 부착되어 안구 운동을 돕는다.
  • 중막
  • 홍채: 빛의 양을 조절하며, 동공의 크기를 변화시켜 암순응과 명순응을 지원한다.
  • 모양체: 수정체 두께를 조절하고 방수를 생산한다.
  • 맥락막: 망막에 혈액과 영양을 공급한다.
  • 내막
  • 망막: 시세포층이 빛과 색을 인식하며, 중심와는 시력의 예민함을 담당한다. 추체세포는 밝은 곳에서 색과 형태를, 간체세포는 어두운 곳에서 명암을 인식한다.
  • 안내용물: 수정체, 모양체소대, 유리체, 방수 등이 포함되며, 이들은 빛의 굴절과 안구 내압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2) 눈 부속기관

  • 안와: 안구를 보호하는 뼈로 구성된 공간.
  • 눈꺼풀: 눈을 보호하고 광선의 양을 조절하며, 눈물을 고르게 퍼뜨린다.
  • 결막: 안구 표면을 덮어 보호막 역할을 한다.
  • 눈물기관: 눈물샘과 눈물길로 구성되며, 각막을 보호하고 산소를 공급한다.
  • 외안근: 안구 운동을 담당하며, 이상이 발생하면 사시와 눈떨림이 나타날 수 있다.

 

3) 시신경과 시로

  • 시신경: 망막에서 받아들인 빛의 신호를 뇌로 전달한다.
  • 시로: 망막에서 대뇌 후두엽 시각중추까지의 경로로, 시각 정보를 처리한다.

2. 시각의 정의와 기능

1) 시각의 정의

  • 시각(vision): 외부 세계를 묘사하는 정신적 과정으로, 눈과 뇌의 협력에 의해 이루어진다.
  • 시력(visual acuity): 물체의 형태를 인식하는 능력.
  • 시야(visual field): 한 점을 주시했을 때 눈이 볼 수 있는 범위.
  • 시지능(visual intelligence): 시각 정보를 바탕으로 이미지를 창의적으로 구성하는 능력.
  • 시기능(functional vision): 과제를 수행하는 데 필요한 시각적 능력.

 

2) 시각의 분류와 기능

  • 시력

탐지, 인지, 분해, 정위 등의 기능으로 구분되며, 중심시력과 주변시력으로 나뉜다.

  • 시야

중심시야는 추체세포가, 주변시야는 간체세포가 주로 관여하며, 협착, 감도 저하, 반맹 등의 시야 이상이 발생할 수 있다.

  • 대비감도

물체와 배경의 색 대비로 시각 정보를 구분하며, 저시력 학생에게 대비감도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

  • 광감도

밝기 변화에 따른 적응 능력으로, 추체와 간체의 협력에 의해 조절된다.

 

 

3. 시각장애 학생 지원

1) 학습 환경 조정

  • 저시력 학생에게는 확대 자료, 적절한 조명, 대비가 높은 자료를 제공한다.
  • 맹학생에게는 점자, 음성 지원 기술 등을 제공한다.

 

2) 보조공학기기 활용

  • 저시력 학생: 확대경, 망원경, 전자 확대 독서기 등을 활용.
  • 맹학생: 점자 디스플레이, 음성 합성기 등을 활용해 정보 접근성을 높인다.

 

3) 교수 방법 조정

  • 교수 자료, 방법, 환경을 수정하여 학습 접근성을 높인다.

 

4) 사회적 통합 지원

  • 일반 학급에서의 통합교육을 통해 동료와의 상호작용을 지원하고, 사회적 관계를 형성할 기회를 제공한다.

 

4. 시각장애 이해의 필요성

  • 특수교사가 눈의 구조와 기능을 이해하면, 학생의 안질환이 학습과 학교생활에 미치는 영향을 더 명확히 파악할 수 있다.
  • 이를 기반으로 학습자 중심의 맞춤형 지원과 효과적인 교육적 접근을 설계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