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특수교육, 장애인계정보

특수교육 이론 정리 6 - 의사소통장애 1탄

by i am abigail 2025. 1. 21.

의사소통장애는 말, 언어, 음성, 화용 등 여러 영역에서 나타나며, 이를 진단하고 지도하기 위한 체계적 접근이 필요함.

언어발달 이론과 검사, 발달 단계는 실질적 지침으로 교육 현장에서 활용 가능.

언어 발달 지원은 대상자 특성과 상황에 맞는 지도 전략을 적용해야 함.

 

* NAVIGATION
PART 1. 의사소통장애의 이해
PART 2. 의사소통장애 유형과 지도
PART 3. 언어발달검사
PART 4. 언어발달 이론
PART 5. 언어발달 단계환
PART 6. 언어의 하위 체계

 


PART 1. 의사소통장애의 이해

(1) 정의

  • 특수교육법: 의사소통장애를 가진 특수교육대상자는 언어 수용 및 표현 능력, 조음 능력, 말 유창성, 음성 등이 현저히 부족해 의사소통에 어려움을 겪는 경우를 포함함.
  • 미국 말-언어-청각 협회(ASHA): 청각, 언어, 말의 처리 과정에서 손상이 있는 상태를 말하며, 경도에서 중도까지 다양하고 발달적이거나 후천적일 수 있음.

 

(2) 의사소통의 구성요소

  • 언어적 요소: 발성과 언어를 포함하여 의사소통에 필요한 기초적인 요소.
  • 준언어적 요소(반언어적 요소): 억양, 강세, 속도 등 말에 첨가되는 비형식적 표현.
  • 비언어적 요소: 표정, 몸짓 등 구어를 사용하지 않는 의사소통 방식.
  • 초언어적 요소: 언어의 구조적 특징을 인식하는 능력으로 언어 자체를 사고의 대상으로 삼음.

 

(3) 의사소통장애의 범위

  • 말장애: 조음, 음운, 유창성, 음성 문제 포함.
  • 언어장애: 언어 형태(음운론, 형태론, 구문론), 내용(의미론), 사용(화용론) 손상.
  • 의사소통 다양성: 보완대체의사소통체계, 방언 등도 고려.

 

PART 2. 의사소통장애 유형과 지도

(1) 말장애

조음·음운장애

  • 원인: 발달지체, 구순구개열, 청각장애, 뇌병변 등.
  • 증상: 조음 기관의 결함, 음운 지식 부족.
  • 지도법:

      - 변별자질 접근법: 특정 자질 교정을 통해 음소 오류 개선.

      -  음운변동 접근법: 패턴 분석 후 체계적 지도.

유창성 장애

  • 말더듬: 소리의 반복, 연장, 막힘, 부수 행동 등이 동반됨.
  • 속화(말빠름증): 지나치게 빠른 말속도로 인해 유창성이 손상됨.
  • 지도법: 유창성 완성법, 말더듬 수정법.

음성장애

  • 원인: 성대 결절, 신경계 이상(파킨슨병 등).
  • 지도법: 환경 조치(교실 소음 관리), 음성 훈련.

(2) 언어장애

단순언어장애

  • 특징: 다른 발달 영역에는 문제가 없으나 학습장애로 진단되기도 함.
  • 지도법: 확장, 확대, 우연 교수법, EMT 기법 등.

실어증

  • 특징: 브로카, 베르니케, 명칭 실어증 등 다양한 유형으로 나뉨.
  • 지도법: 발화 유도 전략, 수정 피드백, 참조적 의사소통 훈련.

기타 장애

  • 청각장애: 조음·음운장애, 공명장애, 음성장애 동반.
  • 환경중심 접근법, 스크립트 문맥 활용 가능.

PART 3. 언어발달검사

(1) 표준화 검사

  • 주요 도구: REVT, PRES, U-TAP 등.
  • 검사 대상에 따라 도구가 다르며, 수용 및 표현 언어 발달 상태를 측정.

 

(2) 자발화 검사

  • 구문론적 분석: 평균발화길이(MLU)로 구문의 복잡성 평가.
  • 의미론적 분석: 어휘의 다양성과 의미 관계 파악.
  • 화용론적 분석: 대화의 주제 유지, 피드백 등 화용적 능력 평가.

PART 4. 언어발달 이론

(1) 행동주의 이론

  • 스키너: 강화와 모방을 통해 언어 습득.
  • 주요 개념: 맨드(요구), 택트(대상 이름 붙이기), 모방 등.

 

(2) 생득주의 이론

  • 촘스키: 인간은 선천적으로 언어습득장치(LAD)를 가지고 태어남.
  • 주요 개념:

     -  언어능력: 내재적 언어 지식.

     -  언어수행: 실제 언어 사용.

     -  변형문법 이론: 표층구조와 심층구조 간 변형 규칙으로 문장 생성.

 

(3) 구성주의 이론

  • 피아제: 언어는 인지적 성숙의 결과.
  • 비고츠키: 부모와의 상호작용이 언어 발달의 핵심.
  • 아동지향적 말(CDS), 내적 언어, 외적 언어로 구분.

PART 5. 언어발달 단계

(1) 영아기

  • 울음 단계: 요구 전달을 위한 초기 발성.
  • 쿠잉: 우연한 발성에서 의도적 발성으로 확장.
  • 옹알이: 모음과 자음 결합 소리, 예: ‘마마’.
  • 몸짓 언어: 비구어적 표현(가리키기, 손 흔들기 등).

(2) 유아기

  • 한 단어 시기: 하나의 단어로 여러 의미 표현.
  • 두 단어 시기: 전보식 문장 사용(조사 생략).
  • 특징적 현상: 과잉확대(‘모든 동물을 개’로), 과잉축소(‘특정 의자만 의자’로), 과잉일반화(모든 단어에 동일한 규칙 적용).

PART 6. 언어의 하위 체계

(1) 형태(form)

  • 음운론: 말소리 규칙, 자음과 모음 분류.
  • 형태론: 형태소 조합으로 단어 생성.
  • 구문론: 단어 배열로 문장 형성.

(2) 내용(content)

  • 의미론: 단어와 문장의 의미.
  • 발달 순서: 구체적 단어→추상적 개념, 동사→명사.

(3) 사용(use)

  • 화용론: 맥락적 언어 사용.
  • 대화 기술: 주제 유지, 피드백, 직시어 사용 등.